투자론 용어 정리
효율적 시장 | 자산에 대한 정보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격게 반영되는 시장 |
투자자 유형 | 개인 투자자, 기관 투자자, 외국인 |
화폐 시장(콜환매, 조건부 채권(RP), 양도성 예금 증서(CD), 기업 어음(CP), 통화 안정증권, CMA, 리보, Euribor, T-bill, T-note, T-bond) | |
콜(call) | 만기 1일, 은행이 1일동안 자금 부족으로 인하여 돈을 빌리는 시장 |
환매 조건부 채권(RP) | 만기 1,3,7,14,21,30,60,90일. 일정기간이 지난 후 다시 매입하기로 약속하고 채권을 매도 하는 것(주로 은행간에 국채나 우량 기업 회사채로 거래됨) |
양도성 예금 증서(CD) | 만기 91일. 은행이 발행한 양도 가능한 정기 예금(1000만원 단위, 양도 가능으로 아무 때나 팔 수 있음, 무기명, 은행의 자금 여부 알 수 있음) |
기업 어음(CP) | 만기 91일 우량기업이 발행한 약속 어음.(5000만원 단위, CP 그림리는 CD와 달리 기업이 발행함) |
통화 안정증권 | 만기 91일, 364일 2년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시장 안정 채권 |
MMF(Money Market Fund) | 단기 금융 상품에 투자하는 간접 투자 상품 |
CMA(Cash Management account) | 단기 금융 상품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증권회사에서만 기업가능 |
리보(LIBOR) | 만기 1,3,6,12 개월. 런던의 주요 은행들이 서로 간에 자금을 대여할 때 받는 이자율. (주로 영국) |
Euribor | 만기 1,3,6,12 개월. 유럽의 대형 은행들이 서로 간에 자금을 대여할 때 받는 이자율 (주로 독일) |
T-bill, T-note, T-bond | T-bill(만기 4,15,26,52주), T-note(1~10년), T-bond(10~30년) 미국 채권 |
채권 시장(지방채, 특수채, 회사채, 무이표채, 이표채, 전환사채(CB), 신주 인수권 부사채(BW), 수의 상환 사채, 상환 요구 사채) | |
채권 | 발행자가 정해진 기간 이내에 원금과 이자 지분을 약속하고 발행한 증권(원금: 액면가 또는 액면금액, 표면금리: 액면 이자율, 만기일) |
지방채 | 지방자치정부가 발행한 채권 |
특수채 | 공사채: 공사가 발행하는 채권, 금융채: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 |
회사채 |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채권 |
무이표채 | 만기까지 이자 지급이 없다가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 지급하는 채권 |
이표채 | 만기까지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지불하는 채권. |
전환사채(CB) |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채권 |
신주 인수권 부사채(BW) |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
수의 상환 사채 |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 만기 이전에 상환 가격을 지불하고 채권을 매입할 수 잇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
상환 요구 사채 | 채권을 소유한 투자자가 만기 이전에 상환가격을 지불하고 채권을 기업에게 매도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
주식시장 | |
주식 | 기업이 자기자본을 조달하기 위해 판매하는 채권(주주의 권리 :경영참가권, 배당금) |
보통주 | 일반적인 주주로 잔여청구권과 유한 책임만을 가진다. 액면주식과 무액면 주식이 있다. |
우선주 | 채권과 주식의 성격이 혼합되어 있는 주식 (경영참가권이 없음, 배당금을 보통주보다 빨리 받는다. , 누적정 특징-못 받은 배당금은 누적되었다가 나중에 받게 된다.) |
뮤추얼 펀드 | |
뮤추얼 펀드 | 증권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투자회사를 설립하고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투자하고 그 수입을 배당하는 펀드 |
개방형 | 투자자의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새로 주식을 발행하여 자금을 모집할 수 있고 투자자가 판매를 요구할 때는 언제든지 자금을 내 줄 수 있다. |
폐쇄형 | 모집금액이 정해져 있고 투자자 요규에 따라 수시로 자금을 모집,판매 할 수 없다. |
ETF |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 폐쇄형은 아니지만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 |
파생상품 | |
선물 | 두 당사자가 미래의 특정 시점에서 기초자산을 미리 정해놓은 값으로 사고 팔기로 약속한 계약(인도일, 기초자산, 선물가격) |
옵션 | 옵션 소유자에게 미래의 특정시점 또는 그 이전에 기초자산은 미리 정한 가격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증권.(만기일, 기초자산, 행사 가격) |
스왑 | 두 당사자가 미래 일정기간 동안의 현금 흐름을 서로 교환하기로 약속한 계약 |
금리 스왑 | 이자를 교환 |
통화 스왑 | 서로 다른 통화를 거래하고 각자의 통화 이자를 지급 |
CDS | 신용 부도 스왑 |
증권시장 | |
발행시장 | 발행 주체가 새로운 증권을 발행하여 장기자금을 조달하는 시장 |
발행주체 | 증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기관 |
발행 중계기관 | 발행주체를 대신하여 증권 발행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 |
투자자 | 기관, 개인 투자자 |
사모 발행 | 특정관계인에게만 증권을 인수시키는 경우 |
공모 발행 | 불특정다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증권을 공개적으로 모집하는 것 |
직접 발행 | 발행 주체가 직접 투자자를 모집하여 증권을 판매하는 것 매출 발행: 발행 금액을 정하지 않고 일정 기간동안 증권을 판매하는 것 (금융기관) 경쟁 입찰: 발행 금액을 정한 후 다수의 공모자에게 입찰시켜 결정하는 것 (금융기관, 정부) |
간접 발행 | 중개 기관이 발행과 관련된 업무를 대신하는 것 |
모집 주선 | 중개기관이 투자자에게 판매하고 남은 증권을 발행주체에게 되돌려 주는 것 |
잔액 인수 | 발행 중개기관이 투자자에게 판매하고 남은 증권을 인수하는 것 |
총액 인수 | 증권을 모두 인수하고 자기책임하에서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것 |
기업공개 | 주식회사가 투자장에게 주식을 널리 판매하여 다수의 주주에게 주식의 소유를 분산시키는 것 |
기업공개의 장단점 | 장점: 대규모 자금을 모을 수 있다. 공시의무 수행으로 기업 경영의 투명성이 증가한다. 단점: 대주주의 경영권 유지가 어려워 질 수가 있다. 공시,주주관리, 주주총회 관련 비용이 증가한다. |
유상증자 | 기업이 주식을 새로 발행해서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것 할인발행: 신주의 가격을 현재 주가보다 낮게 발행하는 것 권리락: 신주는 인수할 권리가 없어진 날 주식 가격이 하락하는 것. 이론권리락가격 = (현재주가+(신주가격X증자비율))/(1+증자비율) 시가 발행 : 신주 가격을 현재 주가와 같게 발행한 것. 할증 발행 : 신주 가격을 현재 주가보다 더 비싸게 발행하는 것. |
무상증자 | 기존 주주에게 무상으로 주식을 발행하는 것. 이론권리락 가격 = 현재주가/(1+증자비율) |
유통시장의 기능 | 증권의 유동성, 증권가격이 형성됨, 새로 발행되는 주식의 기준가격 제공 |
증권 거래 제도 | 거래시간: 정규시장 : 09:00~15:00, 시간외 시장: 장전-7:30~08:30(전일 종가로 거래), 장후-15:10~15:30(당일종가로 거래), 15:30~18:00(종가기준 ±5%) 매매수량 단위 : 10주(단,5만원 이상 주식은 1주씩 가능) 결제일 : 매매 계약이 체결된 날을 포함하여 세 번째 영업일 |
신용거래 | 주식의 매입자금을 증권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거나, 주식을 증권회사로부터 빌려 이를 매각하는 것. |
공매(Short sale) | 증권회사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하고 일정기간후 그 주식을 매입하여 돌려 주고 차익을 취하는 것. Up-tick rule: 전날 주가 상승한 종목만 공매 허락 (tlwkd 불안정시 국가에서 공매 금지 시킴) |
증권 거래의 주문 방법 | 지정가 : 사고 싶은 가격을 지정해서 주문하는 것 시장가 : 사고 시은 수량으로 주문하면 즉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으로 사고 파는 것 시간외 종가 : 그 날 끝나거나 시작 전 가격으로 매입,매도 하는 것. |
시장 규제 | 가격 변동 제한 (하루에 움직일 수 있는 범위: ±15%) 거래 일지 중단 제도. : 시장이 급변동시 거래를 일시 중단 시킴 사이드카, 써킷 브레이커 |
사이드 카 | 주가 지수 선물이 5%이상 변동하여 1분간 지속되는 경우 프로그램 매매를 5분간 정시시키는 것 (조건 : 15개 종목 이상) |
서킷 브레이커 | 증권시장 전기를 차단, 거래를 못하게 하는 것. 주가지수 선물 가격이 5% 이상 변동하고 동시에 이론 선물 가격대비 5%이상 변동 상태가 1분간 지속된 경우 선물거래 5분간 중단시킴 종합 주가지수가 10% 이상 하락하여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모든 주식, 선물, 옵션 거래를 20분간 중단 시킴 |
주가 지수 | 정치,경제,사회 상황을 반영하는 종합지표, 경기 선행 지표, 투자 성과 평가 기준 |
평균 주가법 | 관련 기업의 주가를 모두 더해서 기업 수로 나눈 것. |
시가 총액법 | 현재 상장 기업의 총가치를 기준년도 상장기업의 총가치와 비교하는 비율 |
외국 주가 지수 | 미국 : 다우지수, WSJ, S&P500, NASDAQ 영국 : FTSE 프랑스 : CAC40 독일 DAX (30개기업) 일본 Nikkei (225개) 중국 : Shanghai, 홍콩 : Hong Seng |
한국 주가 지수 | KOSPI : 1980년부터 100에서 시작 KOSPI 200 : 선물, 옵션 거래시 KOSDAQ : 1996년 7월 1일 1000으로 시작 |
국제 주가 지수 | 각 나라를 지역별, 선진국, 신흥국으로 나누어 구별하는 주가 지수. MSCI : 모건 스탠리 회사가 발표 FTSE : 2009년 선진국에 들어감 (20개국 정도) |
전망이론 | 위험을 수반하는 대안들 간에 의사결정을 어떻게 내리는지를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
산술평균 수익률과 기하평균 수익률의 장단점 | 산술 : 장점)빠르고 쉽게 구할 수 있다. 단점)재투자기회를 고려햐지 않음, 변동이 클수록 실제 수익률 보다 카진다. 기하 : 장점)투자의 경제적 실질을 잘 나타낸다. 단점)계산이 복잡한 편이다. |
분산투자 효과 | 여러 곳에 투자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이로 인해 위험이 줄어 드는 효과. 분산된 곳이 많을수록 비체계적 위험이 0에 가까워 진다. |
포트폴리오 분리 이론 | 평균-분산 모형에 의해 효율적 투자선의 구성단계와 투자자의 기대 효용을 극대화 시키는 최적 포트폴리오의 선택 단계가 분리 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①투자기회집합에서 지배원리하에 효율적 투자선 파악 ②투자자의 기대효용인 무차별 곡선과 효율적 투자선이 접하는 최적 포트 폴리오 파악. ※무차별곡선이 누울수록 위험사랑형, 가파를수록 위험 회피형이다. |
확실성 등가(CEQ) | 위험 투자안에 투자할 때 얻는 기대효용과 동일한 효용을 가져다주어 위험 투자안과 맞바꿀 수 있는 확실한 수익의 크기 위험 프리미엄 = 기대수익 - CEQ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