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주요가정

  1. 모든 비용을 변동비와 고정비로 분해할 있으며, 고정비는 매출수량의 증가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변동비와 매출액은 매출수량의 증가에 정비례한다.
  2.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가 판매량의 증감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3. 생산 관리 판매의 효율성에는 변동이 없다.
  4. 기간 중의 생산액과 판매액이 같다. 재고자산의 수준의 변동이 없다.

 

손익분기점 분석에는 조업도 만이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인이라고 본다. 그러나 사실상 조업도 이외에도 기후, 종업원의 사기, 설비의 이용가능 정도, 기술변화, 생산요소가격 변화 등이 원가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손익분기점의 가정은 대부분 비현실적이다. 그러나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유효구간(관련범위) 의사결정 대상이 되는 시간 범위 (일반적으로 단기간) 내에서 손익분기점 분석은 수용될 있다.

 

-손익분기점에 영향을 주는 요인

손익분기점을 결정짓는 가지 요인은 단위당 공헌이익과 고정비이다. 따라서 단위당 판매가격이 인상되든지 또는 단위당 변동비가 낮아지면, 단위당 공헌이익이 커지기 때문에 손익분기점은 낮아진다. 이에 비하여 고정비가 높아지면 손익분기점은 높아진다.

  1. 단위당 판매가의 인상과 인하
  2. 신용기간연장 등의 신용정책 변화 ->이자비용 등의 고정비 증가
  3. 광고비나 연구개발비 증액->고정비 증가
  4. 시설자동화-> 고정비 증가
  1. 하청생산 또는 자체 생산 ->비용구조 변화 (하청생산->고정비 감소)

 

고정비 비중이 높은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위험은 높으며 손익분기점을 넘는 판매를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광고 확대 또는 가격 인하를 통하여 많은 고객을 유인하는 전략이 유효할 있다.

728x90
728x90

'금융공부 > back to the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잉여현금흐름법 사용  (1) 2013.12.19
수익률 구하기  (0) 2013.12.19
레버리지 분석  (0) 2013.12.19
[세미나]2014년환율전망 및 실전투자기법-삼성선물  (0) 2013.12.02
K-IFRS 회계원리  (0) 2013.11.1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